커피, 코코아 등 물가 정말 많이 비싸지고 원자재도 정말 많이 비싸졌습니다. 여기에 우유까지.. 최근 우유를 중심으로 한 유제품 가격도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밀크플레이션(Milkflation) 이라고 합니다.
우유, 치즈, 버터, 생크림... 우리는 평소 아무렇지 않게 마시고 먹던 유제품들이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사료값 상승, 전쟁, 유통 구조 문제 등으로 인해 하나둘씩 값이 오르고, 때로는 용량이 줄고, 심지어는 메뉴에서 사라지기도 합니다. 특히 디저트에 많이 쓰여서 빵 가격도 디저트 가격도 많이 상승했습니다.
오늘은 이 ‘우유발(發) 물가 상승 현상’, 즉 밀크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소비자는 어떤 변화를 체감하고 있고, 어떤 대안이 등장하고 있는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려고 합니다.
🥛 1. 밀크플레이션이란?
‘밀크플레이션(Milkflation)’은 우유(Milk) +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우유를 포함한 전반적인 유제품 가격의 상승 현상을 의미합니다.
초콜릿이 ‘코코아쇼크’, 설탕이 ‘슈거플레이션’이라면, 이제는 버터, 치즈, 생크림, 우유까지 오르며 디저트와 식생활에 영향을 주는 대표 원자재가 된 거죠. 이 현상은 단순히 소비자가 마트에서 우유 한 팩을 살 때 체감하는 가격 문제만이 아니라, 카페 음료, 베이커리, 분유, 아이스크림, 외식업계 전반의 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경제 이슈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2. 최근 유제품 가격이 오르고 있는 이유
① 사료값 폭등
젖소는 많은 사료를 먹고 자라야 하는 동물입니다.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옥수수, 대두, 밀 등 사료 곡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낙농업 생산비용이 크게 올라갔죠.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 곡물 수출의 30%를 차지하던 우크라이나의 수출 중단으로 이어졌고, 그 영향은 사료 → 소 → 우유 → 유제품 전반으로 퍼졌습니다.
② 기후 변화
가뭄, 폭염, 가축 질병 확산 등 기후 리스크로 젖소의 생산성이 떨어졌습니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 낙농 국가들이 모두 기후 영향을 크게 받고 있죠.
③ 인건비와 유통비 상승
✔️ 젖소 사육 및 착유에 필요한 노동력 부족
✔️ 전 세계적인 물류비 인상 → 수입 유제품 가격에 반영
④ 수입 의존 구조
한국은 버터, 생크림, 치즈 등의 유제품을 상당량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율 불안정이나 글로벌 유가, 물류비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 3. 무엇이 밀크플레이션을 더 심화시키나?
🐄 구조적 한계 : 낙농업의 특성
우유는 계절적 생산성 차이가 크고, 소를 기르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요. 즉, 수요가 늘어난다고 해도 공급을 갑자기 늘릴 수 없습니다.
🛢️ 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
✔️ 유럽에서 생산되던 버터, 크림 수출이 줄어들고,
✔️ 대체 수입선을 찾으면서 전 세계 유제품 가격이 연쇄적으로 올라가는 구조
📦 기업 차원의 가격 전가
✔️ 유제품 가격이 오르면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커피 브랜드가 →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 or 용량을 줄임
🇰🇷 4. 국내 유제품 시장의 현실
📊 최근 가격 변동 사례 (2023~2024 기준)
품목 | 2022년 | 2024년 | 상승률 |
흰우유 1L | 2,300원 | 2,900원 | 약 26%↑ |
슬라이스 치즈 | 2,980원 | 3,500원 | 약 17%↑ |
버터 450g | 6,800원 | 8,200원 | 약 20%↑ |
생크림 500ml | 5,500원 | 7,000원 | 약 27%↑ |
🧁 업계 변화
✔️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 “우유 크림 → 식물성 휘핑 전환”, “버터 쿠키 단종” 등
✔️ 카페 : 라떼 가격 인상 / 크림, 치즈 토핑 제거
✔️ 소규모 베이커리 : “우유빵”의 가격 상승 또는 중단
🧍 5. 소비자가 체감하는 변화는?
🥄 작아진 우유 용기 & 슈링크플레이션
- 1L 우유팩 대신 900ml
- 버터 제품의 패키지는 그대로, 양은 줄어듦
☕ 라떼 한 잔 가격 변화
- 프랜차이즈 카페 라떼 : 2022년 → 평균 4,500원 → 2024년 평균 5,200원 이상
- 치즈케이크, 밀크 크림 디저트류 : 소량 줄이거나 가격 10~15% 인상
📦 소비자 반응
- “유제품 대체 제품을 찾는다”
- “무가당 두유나 오트밀크로 갈아탔다”
- “어쩔 수 없이 가격 받아들이는 분위기…”
🌱 6. 유제품 대체 시장의 성장
✅ 비건 우유 대안
대체 우유 | 특징 | 가격 | 주요 브랜드 |
두유 | 전통적, 가장 보편적 | 저렴 | 베지밀 등 |
오트밀크 | 고소하고 부드러움 | 중간 | 오틀리, 오푸드 등 |
아몬드밀크 | 칼로리 낮고 담백 | 비교적 고가 | 마이너피겨스 등 |
📈 시장 성장 배경
- 건강식 관심
- 유당불내증 인구 증가
- 환경 의식 확대
- 비건 베이킹 트렌드
🧁 활용 분야
- 홈카페 / 비건베이킹 / 건강식단 / 아기 이유식
우유 한 팩, 라떼 한 잔, 크림이 들어간 디저트 하나. 이러한 소비 뒤에는 국제 원자재 시세, 기후 변화, 낙농업의 공급 구조와 같은
복잡한 요인들이 맞물려 있습니다. ‘밀크플레이션’은 단순한 물가 상승이 아니라, 식품 산업 전반의 구조적 문제와 소비자 선택의 변화를 동시에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유제품은 일상에 밀접한 식재료인 만큼, 그 가격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건강한 소비와 식문화 변화를 읽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물론 이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고 해도.. 결국 소비는 현실적인 선택에서 비롯됩니다. 환경을 고려하고, 공급망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내 지갑 사정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의 라떼를 고르게 되는 것이 현실이기도 합니다. 정보는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도구입니다. 그 안에서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소비하고 선택하는 것, 그것이 밀크플레이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방식일지도 모릅니다.
'건강과 식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스타치오, 고소한 간식 그 이상의 건강 슈퍼푸드 (73) | 2025.07.08 |
---|---|
요즘 말차가 유행하는 진짜 이유? 건강·색감·문화까지 다 잡았다! (58) | 2025.07.07 |
디지털 디톡스 완전 정리 : 개념, 방법, 효과 A to Z (61) | 2025.07.05 |
KFS 수출식품안전관리인증제도란? 해외 진출 식품업체가 꼭 알아야 할 필수 인증 (62) | 2025.07.04 |
소르빈산, 무서운 방부제일까? 알고 먹는 식품첨가물 이야기 (73) | 2025.07.02 |